췌장을 망가뜨리는 영양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께
췌장을 망가뜨리는 영양제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췌장은 위의 뒤쪽에 위치해 있어요.
췌장을 망가뜨리는 영양제가 거의 없어요!
드물어요!! 걱정하지마세요!
6개 정도의 영양제 성분을 말씀드릴게요!
함량을 높여 섭취하거나 개인특이성이 적용된게
대부분의 케이스였지만
정말 극히 드물답니다!!
100% 맞는 경우는 없어요.
아직도 연구 중이고 정확하지 않아요..ㅎ
99.9999999% 안전하지만
개인 특이성, 고용량 섭취시 발생하는 거랍니다!!!
만성췌장염이 있으신 분들은 진짜 조심하시구
만에 하나라도 이런 보충제를 먹고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섭취 중단을 하시라는 뜻입니다!!!
급성 췌장염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주로 음주, 담석)로
췌장에 염증이 생기고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에요.
췌장의 역할
1. 내분비 : 인슐린, 글루카곤 분비 -> 당조절
2. 외분비 : 소화효소 분비 -> 영양소 흡수
췌장에 염증이 발생하고 그게 반복되면
만성 췌장염이 되는 것이랍니당!
만성 췌장염이 있는 환자는 5명 중 1명이
췌장암이 발생한다고 해요.
췌장염의 원인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술, 담석때문이에요.
알콜의 독성이 췌장에 염증을 유발하고
담석이 췌관을 막아서 염증을 유발하고!!
췌장염의 주원인이 아니지만 영상에서 다루는건
영양제로 발생하는 췌장염이에요.
약인성 췌장염은 전체 췌장염의 원인 중에
1.8%로 비율 정도 밖에 안되지만
약이 아닌 영양제는 아직도 연구가 많이 필요하고
데이터가 부족하니 주의는 해야해요.
보충제는?
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체중 조절, 다이어트 목적으로 많이들
섭취하는 보충제에요!
췌장염을 유발하는 영양제 중에서
가르시니가 가장 케이스가 많아요.
가르시니아는 간에도 안 좋다고
말씀 드린 적 있어요.
체중 조절 목적으로 섭취하고 2~3일만에
급성 췌장염이 발생한 케이스가 있어요.
췌장효소의 활성도에 영향을 줘서
췌장에 염증을 유발한 거 같아요.
췌장내의 활성산도 수치가 높아지면서
염증 반응을 촉발한 거 같아요.
가르시니아는 간독성 췌장염까지
유발할 수 있으니 섭취는 좀 조심스럽게
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2. 고용량 칼슘, 비타민D
비타민D 하루 섭취량 수만IU를 섭취하거나
주사로 투여 받았을 때 췌장염이 유발된 케이스
비타민D의 일반적인 하루 섭취량은 1000정도니까
3~4만은 엄청 높은 용량이에요.
칼슘은 1일 3회 1회 600mg를 수년간 섭취한 사람에게
급성 췌장염이 발생했다고 해요.
미네랄이나 비타민D 고용량은 신장에도 부담을 줘요.
고용량의 비타민D나 칼슘이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고
이게 췌장염을 유발한다는 거에요.
선방세포에서 트립시노겐(비활성형)으로 분비가 되요.
그래야 췌장세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니까요.
췌장세포내의 칼슘 수치가 높아지면
트립시노겐이 활성화 되어서 단백질을 분해하게 되고
췌장세포를 분해해서 염증을 유발하게 되요.
비타민D를 고용량 섭취하면 혈액내 칼슘 수치가 높아져요.
이게 췌장염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걸 예방하기 위해서
비타민K2, 마그네슘이 필수에요!
3. 고용량 아르기닌
2000~3000mg/kg 정도의 아르기닌을 쥐에게 투여하면
췌장염이 발생한다고 해요.
몸무게 40kg 성인 기준으로 1회에 100g 정도의
고용량 아르기닌을 투여한 것이죠.
주의 췌장에 부종과 염증이 발생했다고 해요.
아르기닌을 섭취하면 NO가 합성 촉진되어
혈관이 이완되요.
혈관이 이완되고 혈류량이 증가해서 췌장의 혈관쪽에
혈장이 외부로 유출되고 이로 인한 세포의 부종이 발생해요.
4. 베타시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유발 췌장염이 흔하지 않아
정확한 원인을 알 수가 없어요.
스테로이드 약물 섭취로 인한 췌장염은
종종 발생을 하기 때문에 비슷한 구조라서
베타시토스테롤도 췌장염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
생약, 허브, 한약들이 급성 췌장염을
유발하는 케이스가 가끔 있어요.
5. 쏘팔메토
3가지 케이스 모두 중년의 남성이 전립선 건강을
위해서 쏘팔메토를 수개월간 섭취하고 급성 췌장염이 발생해요.
앞서 말씀드린 보충제들처럼 쏘팔메토도 정확한
췌장염 유발 기전은 모른다고 해요.
쏘팔메토는 담석증을 유발하고 간수치도 높이고 좀 부담되요,,
담석증이 대표적인 췌장염의 원인이라고 했으니
쏘팔메토도 좀 주의해야해요.
6. 생약, 허브
28세 여성이 설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천연 호르몬 생약 보충제를 섭취했다고 해요.
블랙코호시, 레드클로버, 발레리안 이런 것들이 들어있는데
대표적인 갱년기 증상 개선 시키는
천연 호르몬 생약이에요.
이런 복합 허브 생약 성분의 보충제들은 알 수 없는 작용 기전으로
장기들에 독성을 띄기도 해요.
말씀드린대로 건강한 삶은 걱정 할 필요 없고
만성 췌장염이 있는 분들은 조심하셔야 할 것 같아요.
가르시니아나 쏘팔메트는 조심하셔야해요!!!!
혹시라도 이런 종류의 영양제를 드시고 명치쪽 방사통이 발생하면
섭취를 즉시 중단하시길 바랄게요!!!
그럼 오늘도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
다음 시간에 만나요~~!

'영양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슘제의 치명적인 부작용 (0) | 2022.01.30 |
---|---|
최고의 성인병 예방 영양제 추천 (0) | 2022.01.30 |
복합 미네랄 제품 추천 (0) | 2022.01.22 |
2021년 최고의 영양제! (0) | 2022.01.15 |
마스크로 망가진 얼굴! '이것' 하나로 맑은 피부 만들자! (0) | 2022.01.13 |
댓글